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얀마와 러시아의 공통점은?..."소셜미디어부터 막아라"

국제뉴스/아시아

by 정소군 2022. 3. 29. 16:00

본문

최근 민주화 시위가 거세게 일고 있는 러시아와 미얀마의 공통점은 뭘까. 시위의 확산을 막기 위해 소셜미디어 통제부터 착수했다는 점이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미얀마 군정이 지난 6일 오전 미얀마 전역의 인터넷과 와이파이 망을 끊었다고 보도했다. 군부는 지난 1일 쿠데타를 일으킨 직후 일찌감치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접속을 제한했지만 미얀마 시민들은 VPN을 우회해 페이스북에 접속했고, 자국 내 상황을 외부에 알리며 국제 사회의 연대를 촉구했다.

미얀마 군부가 민주화 시위 확산을 막기 위해 인터넷망 접속을 차단했지만, 쿠데타에 항의하는 시민들은 7일에도   1000 여명이 거리로 몰려나와 평화 시위를 이어갔다.   AP 연합뉴스


하지만 이날 인터넷과 와이파이 망 자체가 끊기면서 소셜미디어 접속률이 현저히 낮아졌다. 영국의 인터넷 서비스 감시단체 넷블록은 “미얀마의 인터넷 연결이 평상시의 16% 정도까지 떨어졌다”고 밝혔다.

미얀마에서 페이스북은 매우 중요한 소통 도구로 활용돼 왔다. 미얀마의 페이스북 사용자는 인구의 절반 이상인 540만 여명에 달한다. 군부 독재 시절인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미얀마 사람들은 인터넷이나 핸드폰 이용이 금지됐다. 미얀마는 전 세계에서 핸드폰 이용률이 가장 낮은 나라였다. 군부가 운영하는 이동통신사 MPT의 유심카드 가격이 수백 달러에 달해 일반 시민은 구입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민주화 이행 작업이 시작되면서 2014년 노르웨이의 이동통신업체인 ‘텔레노’와 카타르의 ‘오레두’가 사업 허가를 받은 후 모바일 이용자가 급속히 늘기 시작했다.

군부 쿠데타가 발생한 뒤에도 미얀마인들은 페이스북을 활용해 ‘냄비 시위’를 생중계했고, 유명 영화배우와 감독을 비롯한 수많은 인플루언서들은 페이스북에 세손가락 사진을 올리며 시민 불복종 운동에 동참할 것을 호소했다.

‘우리는 정의를 원한다’는 뜻이 담긴 세손가락 경례 사진을 페이스북에 올린 미얀마의 유명 예술인들. /페이스북 캡쳐



미얀마의 민주화 활동가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냄비 시위’에 동참한 마을의 정보를 수집해 만들고 있는 지도. 지난 5일자 지도가 올라온 후 인터넷이 끊기면서 이후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있다. /페이스북 캡쳐


미얀마인들은 인터넷이 끊기자 이동통신업체들에게 “군부의 압박에 불복종 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군부의 지시에 따라 문자와 통화 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인터넷 서비스를 차단한 ‘텔레노’ 측은 “안타깝지만 우리로서는 그 나라의 현지 법에 따라 서비스를 운영할 수밖에 없으며, 무엇보다 현지 직원들의 안전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로이터통신에 말했다. 페이스북과 유엔 인권사무소 측은 각각 성명과 트위터를 통해 군부에게 접속 차단 조치 철회를 촉구했다.

이와 비슷한 일은 러시아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은 야권 운동가인 알렉세이 나발니의 석방을 촉구하는 민주화 시위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자마자 가장 먼저 소셜미디어 검열에 나섰다.

러시아에서는 최근 주말마다 푸틴 대통령의 비리 의혹 규명과 나발니의 석방을 촉구하는 수만여명의 거리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틱톡에서는 시위 참여를 호소하는 게시물이 수억 건의 조회수를 기록했고,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에는 나발니가 폭로한 푸틴 대통령의 ‘호화궁전’ 영상이 수없이 공유됐다.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알렉세이 나발니 석방 촉구 시위. /로이터연합뉴스


이에 러시아 정부는 지난 1월10일 ‘불법 콘텐츠’를 유통시킨 업체는 연 수입의 10%를 벌금으로 물릴 수 있다는 법을 통과시킨데 이어, 2월1일에는 페이스북·틱톡·트위터 같은 소셜미디어 업체들이 러시아 현지 법에 따라 불법 콘텐츠를 삭제해야 한다는 법을 잇따라 통과시켰다.

러시아 정부는 지난 1월27일 시위 참여를 독려하는 홍보물을 삭제하지 않은 페이스북·인스타그램·트위터·틱톡 등에 400만루블의 과태료를 부과하면서, “추후 다시 규정을 위반하면 법에 따라 연 수입의 10%까지 벌금 물리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휴먼라이츠와치의 유럽·중앙아시아 지부장인 휴 윌리엄슨은 “소셜미디어 검열은 러시아 같은 권위주의 정권에서 평화 시위를 억압하는 가장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정유진 기자 sogun77@kyunghyang.com

 

(2021.2.7)

관련글 더보기